TIL
-
05일 TILTIL/22.1월 2022. 1. 6. 06:15
한 해가 지나 벌써 5일이나 지났다.. 그동안 과제를 수행하느라 정신이 없어 TIL을 쓰는 것 조차 생각지 못했다. 지금 현재 멋사에서 진행중인 노드 스터디와 감귤마켓 클론이라는 과제를 진행 중이다. 노드는 말 그대로 node.js 백앤드를 주로 다루는 스터디이다. 대표님이 주최하신 백앤드 공부를 하고 싶은 사람들을 위해 만드셨다. 스터디 같은 경우에는 과제를 주면서 1주일에 하나씩 지정해주신 미션을 토대로 간단한 토이 프로젝트를 만드는 스터디를 만드셨다. 역시 계속 이론 공부하는 것보다 이렇게 토이 프로젝트를 하면서 자기가 직접 찾아보고 붙이혀 보면서 만드는 방식이 성장하기 좋은 것 같다고 다시 한번 느꼈다. 감귤마켓 클론은 멋사에서 지정해준 팀원들과 소통하여 각각 자기가 맡은 분량을 만들어 협업하는 ..
-
29일 TILTIL/21.12월 2021. 12. 29. 01:03
오늘은 간단한 html과 css를 이용하여 자기소개서를 웹페이지 방식으로 꾸미는 것을 만들었다. 자기소개서를 웹페이지 같이 만들려고 하니깐 처음에 구상을 짤 때 어느 식으로 짜야 할지를 시간을 많이 쏟은 것 같다. 자기소개서를 웹동작으로 만드는 이유는 일단 기본적인 UI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을 알리는게 첫번째 이고, 두번째는 내가 지금까지 해온 것과 앞으로의 할 일을 들을 보여주기 좋은 프로젝트중 하나로 생각해서 만드는 중이다. 막상 나의 이야기로 만들려고 하니깐 어떤 식으로 짜야 할지.. 어떤식으로 짜야 회사에서도 이쁘게 잘 만들었다는 것을 보여 줄 수 있을지 많은 고민을 했다. 고민 끝에 내린 결론은 일단 만들자 였다. 현재 내가 보여줄 수 있는 실력을 쏟아내서 보여준다면 분명 나를 알아봐 주는 회사..
-
16일 TILTIL/21.12월 2021. 12. 16. 23:10
오늘은 개인공부로 firebase를 연결하는 방법을 공부를했다. 멋사에서는 알고리즘 공부와 코드라이엇에 있는 세렝게티 강의를 들었다. 세렝게티는 mbti를 만드는것이다. mbti는 jqery를 이용하여 클릭했을 때 여러가지 이벤트가 발생하여 다음페이지로 넘어가고 그리고 다음 질문을 나오고 그것을 토대로 결과를 나오는 것을 만들었다. 강의를 보면 어떻게 해야하는지 보이지만 막상 내가 짜려고 하면 머리가 하얗게 되는 느낌을 받았다. 코드를 읽고 무슨 말인지는 이해를 했는데 아직도 구현력이 많이 떨어지는 것 같다. 구현력을 높이려면 개인적으로 미니프로젝트를 만들어 서라도 계속 사용하여 기르는 방법 밖에 없다고 생각이 들었다. firebase는 뭔가 내가 mysql로 만드는 작업이랑 뭔가 헷갈린다고 해야할까? ..
-
14일 TILTIL/21.12월 2021. 12. 14. 22:51
오늘은 깃에 대해서 공부를 하였다. 터미널로 간단하게 clone, add, commit ,push에 대해서만 알았는데, 공부를 하다보니 플로우에 대해 알게 되었다. 나는 플로우가 무엇인지 왜 사용해야 하는지 그냥 원격저장소에 바로 넘기면 안되는 이유에 대해서 유튜브와 블로그를 찾으면서 공부를 했다. 다른 사람들과의 작업이 겹쳐 내가 해오던것이 날라갈 수도 있고 여러사람들과 같이 쓰다보면 분명히 충돌이 일어나 파일이 날라가거나 꼬이는 경우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자 나만의 브랜치를 만들어 거기서 파일들을 관리하고 거기서도 각각의 기능마다 브랜치를 따서 작업을 하여 충돌을 최소화 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이해를 했다. 일단 지금 공부한 것은 왜 사용해야 하고, 최대한 충돌을 없애고자로 간단하게 이해를 했지만..
-
09일 TILTIL/21.12월 2021. 12. 9. 23:46
오늘은 멋사에서 jQuery와 Ajax를 다루는 것을 배웠다. 확실히 jQuery를 사용해 보니 사용하는 이유를 알 수 있었다. 지금 까지 document.get____ 이런식으로 코드를 길게 사용을 하였다면 긴 코드를 간결하게 만들어 주기 때문이다. 물론 점점 안쓰는 추세라고는 하지만 그래도 사용 안할 이유는 없는 것 같다. 왜냐하면 그만큼 간결하게 코드를 짤 수도 있을 뿐더러 그리고 v3가 저번 버젼보다 살짝 가벼워 졌기 때문이다. Ajax 같은 경우에는 나중에 백앤드와 통신을 하면서 json파일을 가져와 정보들을 가져오게 하려면 당연히 사용 할 줄 알아야 한다. Ajax로 통신하는 것은 그래도 항해에서 자주 사용했던 것이라 사용 원리를 어느정도 알고 있기 때문에 이해하는데에 어려움은 없었다. 다만 ..
-
08일 TILTIL/21.12월 2021. 12. 9. 00:30
오늘은 비동기 callback과 promise를 배웠다. CallBack 함수란 이름 그대로 나중에 호출되는 함수를 말한다. 콜백함수라고 해서 그 자체로 특별한 선언이나 문법적 특징을 가지고 있지는 않다. 콜백함수도 일반적인 자바스크립트 함수일 뿐이다. 콜백 함수는 코드를 통해 명시적으로 호출하는 함수가 아니라, 개발자는 단지 함수를 동록하기만 하고, 어떤 이벤트가 발생했거나 특정 시점에 도달했을 때 시스템에서 호출하는 함수를 말한다. 프로미스는 자바스크립트 비동기 처리에 사용되는 객체 여기서 자바스크립트의 비동기 처리란 ‘특정 코드의 실행이 완료될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다음 코드를 먼저 수행하는 자바스크립트의 특성’을 의미한다. 이러한 것을 배웠는데 promise가 왜 사용되어야 하는지 콜백지옥에서 벗..
-
07일 TILTIL/21.12월 2021. 12. 8. 01:09
오늘 멋사에서는 코드에 대해 거리감을 없애고 머릿속에 잘 박힐 수 있게 오전에는 손코딩을 직접 썻다. 그리고나서 오후에는 잘은 사용하진 않지만 알아두면 좋은 것들 몇몇개도 알려주시면서 코드도 따라 치면서 공부를 했다. 개인적으로 손코딩은 공부하다 이해가 안가는 부분이나, 머리에 들어오지 않을 때 하면 효과가 좋은 것 같다. 손으로 쓰면서 집중도 올라가면서 머리에 잘 들어왔다. 수업이 끝나고 리액트 공부를 했다. 리액트에서 라우팅 처리하는 방법을 공부를 했다. 음... 확실히 어색하다... 뭔가 강의를 듣고 따라하면서 내가 과연 프로젝트를 할 때 이런식으로 할 수 있을까? 라는 생각을 가졌다.. 하지만 쉬면서 생각을 해보니 좌절할 시간에 코드 한번이라도 따라하고 내가 어떻게 응용을 할 수 있을지 고민을 하..
-
03일 TILTIL/21.12월 2021. 12. 4. 14:20
오늘 국비에서 document에 대해서 간단하게 공부를 했다. classList.add, classList.remove를 배워 css를 불러오는 방법을 배웠다. 일단 이것은 공부를 했던 부분이라 이해하기가 좀 수월했다. 그리고 개인적으로 자바스크립트를 공부하기 위해 예전에 사둔 '혼자 공부하는 자바스크립트' 라는 책을 처음부터 다시 읽어보면서 기초를 다졌다. 일단 당분간은 책을 읽으면서 자바스크립트에 대해 더 공부를하고 더 나아가 간단한 프로젝트도 계획을 세워봐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