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변수와 상수(1)JavaScript 2022. 6. 17. 01:16
변수란?
변수는 데이터를 저장할 때 쓰이는 '이름이 붙은 저장소'이다. 주로 정보를 저장할 때 변수를 사용한다.
자바스크립트에서는 let, var, const를 사용하여 변수를 선언을 한다.
// let의 사용법 let age //변수 앞에 let을 붙여 이름을 가진 변수를 생성(선언) 해준다. let age = 20 //할당 연산자(=)를 사용하므로서 age라는 변수에 정보를 넣어 데이터를 저장한다. alert(age); // alert에 age를 넣으면 age라는 변수에 저장된 값을 보여준다.
물론 다른 방식으로도 가능하다
let age //변수를 선언 age = 20 //변수로 선언된 age에 데이터를 저장한다. alert(age) // age에 저정된 데이터 값을 불러온다.
위의 방식으로도 변수에 데이터를 저장을 할 수 있다. 하지만 2가지 방식중에 밑의 것을 사용하면 코드도 길어질 뿐만 아니라 변수 선언이 점점 길어지면 보기 어려울 수 있는 부분이 있고, 개인적으로는 좀 지저분한 느낌이 들어 밑의 방식 보다는 위의 방식을 많이 사용한다.
그리고 한줄에 여러 변수를 선언하는 것도 가능하다.
let name = 'sigi', age = 20, message = 'hello';
위의 방식으로 한줄에 여러 변수를 선언하는 것이 가능하고 코드가 좀 더 짧아 보이긴 하지만 권장하지는 않는다.
이유는 가독성을 위해 한 줄에는 하나의 변수를 작성해 주는 것이 좋다. 한 줄에 한 개의 변수를 작성하면 코드가 길어 보이지만
읽기에는 편안하다.
let name = 'sigi'; let age = 20; let message = 'hello';
let 같은 경우에는 변수 명이 똑같이 사용하고 데이터를 다르게 넣으면 제일 마지막에 넣은 데이터 값으로 불러오게 된다.
예를들면
let message //변수를 설정해준다. message = 'Hello'; // 변수에 데이터 값을 넣어준다. message = 'World'; //같은 변수에 다른 데이터 값을 넣어준다. alert(message) // 만약 message라는 변수를 불러오면 결과 값은 어떻게 나올까? // 결과: 'World' 가 나올 것이다.
이렇게 제일 마지막의 데이터 값으로 불러오게 된다. 값이 변경이 되면서 그전에 있는 데이터는 변수에서 제가 된다.
하지만 변수 두 개를 선언하고 한 변수의 데이터를 다른 변수에 복사 할 수도 있다.
let language = 'hi hello'; // 변수에 데이터 값 넣기 let message // 새로운 변수 선언 message = language // 새로운 변수에 기전 변수 넣기 alert(language) // 결과값 'hi hello' alert(message) // 결과값 'hi hello'
저렇게 두개의 변수를 불러오면 결과값은 같은 데이터 값을 가져오게 된다. 하지만 같은 변수명을 지으고 서로 다른 데이터를 넣게되면
오류가 나오게 된다.
let message = 'hello'; let message = 'world'; // 같은 변수명을 쓰고 서로 다른 데이터 값을 넣으면 // SyntaxError: Identifier 'message' has already been declared 이런 문구가 나오면서 에러가 나오게 된다.
변수명 규칙
자바스크립트에서는 변수 명명 시 두가지 제약 사항이 있다.
- 변수명에는 오직 문자와 숫자, 그리고 기호 $와 _만 들어갈 수 있습니다.
- 첫 글자는 숫자가 될 수 없습니다.
예를 들면
// 잘못된 변수명 let 1name // 변수명은 숫자로 시작하면 안된다.! let my-name // 하이픈(-)은 변수명에 올 수 없다.!
이렇게 간단하게 변수에 관련된 글을 작성해 보았다. 아직 많이 부족하지만 하나하나씩 블로그를 쓰면서 발전 하도록 해야겠다.
그리고 본 글은 모던자바스크립트 튜토리얼을 활용하여 작성 하였습니다.!